저자 : 모기 겐이치로
출판 : 비즈니스북스
발매 : 2019.09.03.
“매일의 아침엔 저마다의 숨은 행운이 있다. 그러니 아침을 놓치지 마라. 오늘만 만날 수 있는 기적을 위해”
책의 첫 페이지를 넘기면 나오는 문구이며 저자가 아침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알 수 있는 명언인 것 같다.
21세기 현대사회에서는 시험, 취업, 승진 등 어떠한 목적을 위해 사람들은 잠을 포기하며 열심히 사는 것 같다. 나 역시도 시험을 위해 잠을 줄이고 새벽까지 공부를 했던 경험이 있다. 아침에 일찍 눈을 뜨는 일은 더욱 고되고 쉬는 날에는 잠을 더 자야 회복이 된다고 생각하며 이게 당연시되었던 것 같다. 그렇기에 하루하루 똑같은 패턴의 반복이고 아침은 등한시 되어가고 있었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부분 아침에 일어나 하루를 시작한다고 하는 소리는 많이 들었지만 ‘성공한 사람들은 이유가 있으니까 성공했지.’ 라는 생각만 하였지 나는 별다른 생각이 없이 하루하루를 살아왔던 것 같다.
그러던 중 서점에서 이 책을 발견하게 되었고 내가 활용하지 못하는 아침을 되찾아주고 그 시간을 어떻게 나의 시간으로 만들 수 있는지 알려준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어서 읽어 보았다.
저자는 우선 가장 중요한 조건이 아침을 즐기려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이 문구를 읽자마자 ‘ 아니 그게 가능하면 누구나 아침에 일찍 일어나겠지’였다.하지만 책을 더 읽다보니 ‘ 어쩌면 나도 아침을 즐길 수 있겠다’로’‘나도 할 수 있다’로’.
책을 읽으면서 기억에 남았던 문구들과 내용들이 있다. 그 내용들을 몇 가지 적어 보려고 한다.
시간을 돈으로 환산하는 감각을 기르자
저자는 “시간을 돈으로 환산하는 감각을 기르자”라고 말하고 있다.
세상에 성공했다고 일컬어지는 인물, 일이나 공부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는 사람을 보면 그들은 시간에 대한 경제 감각, 시간을 돈으로 치환하는 감각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행동한다고 한다. 하지만 시간을 돈으로 환산하는 감각이 쉽지 않기에 저자는 우선 아무도 방해하지 않는 아침 시간을 평소에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재검토하는 단계부터 시작해 보라고 말하고 있다.
나도 시간에 대해 경제관념이 없었기에 아침을 아무 소득 없이 흘려보내고 멍하니 보내곤 했다. 저자는 이렇게 시간을 흘려보내면 이후의 일이나 공부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의욕이 안 생겨’ , ‘내가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일까’와’ 같은 자문자답만 반복한 끝에 부정적 사고에 빠지고 만다고 한다.
그렇기에 아침을 재 검토하며 아침 시간에 대한 감각을 기르면서 점차 하루를 관리하는 능력도 길러지고 결과적으로 매사에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다. 나는 이 장을 읽으면서 하루의 시작을 내가 직접 관리하고 검토하여 오늘 하루를 어떻게 보낼 것 인지 판단하고 계획해 보라고 저자는 말한다고 생각한다. 내가 보내게 될 오늘 하루를 내가 계획한 대로 내가 생각한 대로 흘려보내면 아무것도 계획하지 않고 흘려보낸 시간에 비해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고 오늘 하루의 끝에서 내가 했던 것들에 대해 성취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무조건 나쁜 것 같진 않은 SNS
책을 읽으면서 저자가 말하는 말하고 있는 것 중에 의외라고 생각했던 장이다. 그건 바로 SNS에 대한 긍정적인 저자의 입장이다.
나는 SNS가 긍정적인 영향보다는 부정적인 영향을 더 많이 준다고 생각하며 살았다. 대표적으로 SNS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말한 사람이 오른쪽에 계신 전 멘체스터 유나이티드의 퍼거슨 감독이다.
나도 비슷하다. SNS에는 좋은 면도 있지만 출처가 명확하지 않은 내용들로 선동하는 글들도 많고 자극적인 콘텐츠들을 올려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으려고 하는 내용들이 더 많이 올라오기에 좋지 않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는 SNS의 순기능을 강조한다.
저자는 정보를 얻는 속도면에서 기존의 신문과 tv뉴스 보다 sns가 실시간으로 살펴볼 수 있다고 말한다. ‘시대는 무엇을 요구하는가’, ‘요즘 어떤 것이 유행하는가’에’ 대한 사회 전반에 걸친 신선한 정보는 물론이며 대중들의 인식부터 젊은 세대의 소박한 감정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언제든지 손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평면적이고 단순한 정보가 아닌 세계 각국의 사람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전하는 정보라 편중되지 않은 다양한 시각과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고 말한다.
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에서도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그것 만으로는 요즘 무엇이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는지 충분히 알기 어렵기에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효율적으로 활용해 정보를 수집하면 시대의 흐름이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 해날 수 있다고 말한다.
이 장을 읽으면서 나는 SNS의 올라오는 내용의 전반적인 트렌드를 보라는 말을 저자가 하고 있는 것 같았다. 아침에 일어나 하루를 시작할 때 오늘 내가 살아가는 이 세상의 흐름을 알게 되어서 좋고 멍하니 있는 아침보다 뇌를 더 빨리 잠에서 깨울 수 있는 좋은 방법인 것 같다고 생각한다.
가장 중요한 건 빨리 자고 빨리 일어나기
앞에 있는 2개의 포인트들은 아침에 일어나서 할 수 있는 방법 중 간단하면서도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고 나도 당연히 할 수 있는 방법이나 하지 않았던 것이라 적어보았다. 하지만 저 두 가지 방법을 하기 위해선 가장 중요한 건 빨리 일어나야 한다. 빨리 일어나기 위해선 당연히 빨리 자야하며 빨리 자기 위해선 자기 직전 1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하는지 알아야 한다..
현대인들은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손에 달고 산다. 침대에 누워서도 스마트폰을 이용해 전화나 메신저, 각종 영상들을 보다가 잠을 잔다. 스마트폰의 블루라이트가 취침에 악영향을 준다는 것은 주변인들을 통해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알면서도 자기 전까지 스마트폰을 봐야 하는 이유는 아마 오늘 하루 나에게 있어서 보상을 주기 위함이 아닐까 생각한다.
‘오늘 하루. 그렇게 생각한다면 나는 이렇게 되묻고 싶다.
오늘 하루 고생한 당신의 몸에게 자기 직전까지 고생을 시키고 싶은가?
Tv나 스마트폰들은 뇌에 계속하여서 자극을 준다. 그렇기에 뇌는 아직 내 몸이 자야 할 때가 아닌 것 같다고 판단하여 잠을 잘 오지 않게 한다. 인간의 뇌는 반드시 잠을 자야만 쉴 수 있다고 한다. 그런 뇌에 피로나 스트레스가 쌓이면 집중력과 판단력이 흐려져 순식간에 활동 능력도 저하된다. 악순환의 반복이라는 말이다.
아침의 골든타임을 얻고 싶으면 전 날 저녁부터 준비를 해야 한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나는 해야 하는 일이 있어서 일찍 못 잔다.”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그 해야 할 일을 아침에 해보면 어떨까 한다. 아침에 일어나 가장 쌩쌩한 두뇌를 이용하여 할 일을 하게 된다면 능률은 당연히 오를 것이라고 감히 나는 장담한다.
오늘은 당신이 남은 생의 첫날이다. 또한 오늘은 어제 누리지 못한 사람이 그토록 바라던 오늘이다.
누군가에겐 그토록 바라던 오늘인데 나는 이 오늘 하루를 너무 무의미하게 보내는 건 아닌가 반성하게 된다. 책에는 훨씬 더 많은 내용이 담겨 있다. 이 내용을 전부 소개하고 싶지만 그러기에는 한도 끝도 없이 계속 써내려 갈 것 같았다.
우리의 뇌는 받아들이는 만큼 바뀌고 긍정보단 부정적인 생각을 하게 만든다고 한다. 부정적으로 생각하게 하는 이유는 우리의 선조가 수렵과 채집을 하며 늘 위험 속에서 살아왔고 긍정적인 정보보단 부정적인 정보를 선택하는 게 생존에 더 유리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에 자연스레 부정적인 생각을 더 많이 한다고 한다.
앞서 ‘ 아니 그게 가능하면 누구나 아침에 일찍 일어나겠지’라고’ 부정적인 생각을 했던 나는 이 책을 읽고 긍정적인 생각을 하면 된다고 계속하여서 생각한다. 결국 책을 평소에 잘 읽지 않은 내가 이렇게 책을 완독 하게 되었고 ‘ 어쩌면 나도 아침을 즐길 수 있겠다’로 바뀌게 되었고 책을 완독 한 후에는 ‘나도 할 수 있다’로 바뀌게 만들었다.
누구에게나 주어진 24시간 이 하루를 어떻게 보내면 좋을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든 책이었다.최고의 변화는 아침에 시작된다는 말을 잊지 않고 지금 당장 아침의 골든타임을잡기 위해 준비해 보는 게 어떨까 생각하며 내 리뷰를 마치겠다.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 초성장 독서법 > (0) | 2022.02.12 |
---|---|
#5 < 당신의 삶에 명상이 필요할 때 > (1) | 2022.02.11 |
#3 < 아주 작은 습관의 힘 > (0) | 2022.02.11 |
#2 < 말투때문에 말투덕분에 > (0) | 2022.02.11 |
#1 < 자기혁명 독서법> (0) | 2022.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