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데이터 은닉이란
▶ 객체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변질되지 않게 보호하는 방법
2. 멤버 변수의 private 설정
▶ 멤버 변수(속성)는 주로 private으로 설정하여, 외부로부터 데이터가 변질되는 것을 막는다.
3. setter , getter
▶ setter 와 gettter 메서드는 멤버 변수를 외부에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메서드이다.
▶ 위의 코드에서 Main클래스에 student1 객체를 생성해 "홍길동" 과 90이라는 값을 넣었다.
그리고 그 Student객체의 구조는 오른쪽에 Student 클래스의 생성자로 인해 "홍길동"은 String , 90은 int형이다.
그리고 Student클래스에서 getInfo, getName, getScore메서드를 생성한다. 이것이 getter이다.
▶ get은 말 그대로 얻는다. 즉 데이터를 얻어서 넣는다는 의미로 기억하면 쉽다.
Student 객체에서 얻은 매개변수를 private화 하여 지역변수로 저장한다. -> this.name = n; / this.score=s;
▶ set은 말 그대로 "셋팅"이다. 내가 () 안에 값을 넣고 초기화 시키려할때 쓰인다.
Student 클래스에서 setScore() 메서드에서 조건을 줘서 true일때 설정하게 할 수 도 있다.
▶ if(score >50) this.score = score;
=> 만약 score값이 50 이상이 되면 그때 setScore(int score) 중 괄호안에 넣었던 값(score)을 student 클래스의 score값으로 초기화 시켜라
이다.
'1. JAVA > 자바프로그래밍 입문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programing #18 < 상속 > (0) | 2022.04.01 |
---|---|
Java programing #16 < 패키지와 static > (0) | 2022.03.20 |
Java programing #15 < 생성자와 소멸자 그리고 this 키워드 > (0) | 2022.03.20 |
Java programing #14 < 객체와 메모리 > (0) | 2022.03.17 |
Java programing #13 < 메서드 > (0) | 2022.03.03 |